[스크랩] 소시지 껍질, 무엇으로 만드는지 아세요?
평소 비엔나 소시지를 즐겨먹던 저는 비엔나 소시지 껍질은 뭘로 만들까 궁금했었죠. 그래서 이와 관련된 자료를 찾아보니, 재료에 따라 종류가 많네요. 소시지 껍질을 케이싱이라고 하는데, 케이싱 종류에는 먹을 수 있는 것과 먹을 수 없는 것이 있는데, 먹을 수 있는 것은 돼지․양의 소장에서 지방이나 점막을 제거하여 만든 돈장․양장 케이싱과 콜라겐 케이싱이 있습니다. 그리고 먹을 수 없는 것은 셀룰로오스 케이싱과 합성수지제 케이싱 등이 있습니다.
소시지 제품 포장지에 “양장”, “돈장”, “콜라겐케이싱”, “셀룰로오스”, “폴리염화비닐리덴” 등으로 소시지 케이싱 종류가 표시되어 있으니 취향대로 선택하면 좋겠습니다. ^^
사진출처 :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bagel5885&logNo=101611725
1. 돈장․양장 케이싱
- 전통적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주로 건조소시지용이나 생소시지용으로 사용되는 돼지나 양의 소장으로 만든 것
- 소시지 반죽과의 밀착성이 우수하여 식감이 좋고 그대로 먹을 수 있음
- 신축성이 없어 조리 중에 쉽게 파열되고(톡톡 터지는 식감!) , 가격이 콜라겐 케이싱에 비해 3배정도
비쌈.
- 가스투과성이 높아 훈연처리 시 훈연성분이 쉽게 침투할 수 있음
2. 콜라겐 케이싱
-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생소시지용이나 비엔나 소시지․푸랑크푸르트 소시지와 같은 훈연 가열 소시지용
으로 사용
- 소의 가죽을 구성하는 콜라겐이라는 단백질을 이용하여 만든 것
- 가스투과성이 높아 훈연 가열 소시지 제조 시 주로 사용
3. 셀룰로오스 케이싱
- 직접 먹을 수 없는 재질로 훈연성이 좋고 균일한 품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음
- 대부분 제조공정 중에 셀룰로오스 케이싱이 제거되어 판매됨.
4. 합성수지제 케이싱
- 가스차단성이 좋고 살균하거나 냉동보관이 가능
- 유통기한이 긴 소시지용으로 사용되는 폴리아미드(PA), 폴리에틸렌(PE), 폴리염화비닐리덴(PVDC)만든 것
- 합성수지제 케이싱은 주로 재질의 강도가 좋아 굵기가 굻은 소시지용으로 사용
- 가스차단성 때문에 숙성이나 발효를 거치는 소시지용으로는 사용할 수 없음.
요것이 바로 합성수지제 소세지 케이싱입니다!! 슈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XX장사 소세지 같은 거죠~
자료 : 식품나라 소통광장 > 정보공유마당 "소시지 껍질, 무엇으로 만드는지 아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