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추운겨울, 핫팩으로 안전하게 겨울나기
추운 겨울이면 장갑으로 목도리로 중무장을 해도 칼날처럼 스며들어오는 겨울바람에 손과 발은 항상 꽁꽁 얼어붙어있습니다. 그래서 겨울의 필수품으로 자리 잡은 핫팩.
단순히 장갑 등으로 바람을 막고 내 체온을 유지 시키는 것이 아니라 발열을 통해 따뜻함을 느낄 수 있기에 추운 한겨울이면 많은 사람들 손과 주머니에 핫팩을 들고 다니는 걸 볼 수 있는데요. 이처럼 핫팩의 발열을 통해 짧게는 1~2시간, 길게는 12시간도 따뜻함을 유지 할 수 있어 더욱 인기랍니다. 이번 겨울, 우리와 함께 할 핫팩에 대해 알아볼까요?
핫팩에는 크게 액체형과 고체형, 충전식 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먼저 액체형은 문구점에서 많이 파는 손난로를 생각하시면 됩니다.
액체형은 '하이포'라고 불리는 티오황산나트륨용액을 이용합니다. 이 하이포는 보통 고체로 존재해서 과포화 상태의 하이포 용액은 약간의 충격만 주어도 고체 결정을 만들면서 열을 발생하게 되는데 이것을 원리로 액체형 핫팩(손난로)는 안에 들어있는 칩을 3~4회 꺾어 충격을 주어 따뜻함을 느낄 수 있게 되는 겁니다. 이 손난로의 경우에는 영구적이지는 않지만 끓는 물에 몇 분간 녹여주면 다시 액체상태로 돌아와 몇 번 더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발열되는 시간이 짧은 것이 단점입니다.
다음 고체형은 현재 시중에 가장 많이 찾아 볼 수 있는 형태입니다. 형태와 목적에 따라 부착형, 신발깔창형등 많은 종류가 있습니다.
고체형의 경우 철의 산화 원리를 이용한 것인데요. 핫팩의 재료로는 철가루, 숯가루, 소금, 적은 량의 물, 톱밥 등이 있습니다. 이 핫팩을 흔들면 철가루가 공기 중의 산소와 반응해 산화철이 되면서 열을 방출하게 됩니다. 하지만 철은 그냥 두면 녹이 나기 때문에 이때는 산화반응이 매우 천천히 일어나 열이 생기는 것을 느끼기 어렵습니다. 때문에 핫팩에 사용하는 철가루의 경우 매우 고운 철가루의 형태이며 소금이 물에 녹아 전자의 이동을 도와주고 숯가루가 촉매역할을 하여 산화반응이 급격하게 일어나 몇 분 내에 온도가 올라가는 것입니다. 이때 발생한 열은 6~8시간 지속되며 산화된 철가루는 다시 철로 환원되지 않기 때문에 고체형의 핫팩은 다시 재사용을 할 수 없는 단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기본 재료의 단가가 비싸지 않고 열이 상대적으로 오래 지속되기 때문에 신발에 넣고 쓰는 깔창형태나 옷에 부착하는 형태 등 다양한 종류로 제품이 출시되고 있으며 많은 사람들이 가장 애용하는 형태입니다.
하지만 일회용이라는 단점은 쓰레기 배출과 함께 환경오염을 시킨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데요. 그래서 근래에 각광받고 있는 핫팩의 형태는 충전식입니다.
가격은 기존 액체형과 고체형의 핫팩에 비해 많이 높은 편이지만 간단한 충전을 통해 열을 오랫동안 지속시킬 수 있고 여러 번 재사용할 수 있다는 액체형, 고체형 핫팩의 장점만을 모았기 때문에 사용기간을 고려한다면 효율적인 형태라고 볼 수 있습니다. 충전식 핫팩은 건전지를 사용하거나 USB를 통해 휴대폰처럼 배터리를 충전하여 충전된 배터리를 이용해 발열을 하는 형태로 최근에 들어 각광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처럼 따뜻하게 겨울을 낼 수 있게 도와주는 핫팩도 주의해야 할 점이 있습니다. 바로 안전성의 문제인데요.
핫팩의 경우 일본이나 중국에서 제조해 파는 형태가 많아 수입품의 경우 우리나라말로 표기된 제품이 많지 않아 경고사항을 지나치기 쉬우며 국산품의 경우 경고사항이 우리나라말로 표기되어 있으나 한부위에 너무 오랫동안 대거나 피부에 직접 닿을 경우 화상의 우려가 있다고만 경고되어 있어 제품의 최고온도나 팩 사용으로 어느 정도 온도까지 상승하는지는 전혀 알 수가 없습니다.
또한 하이포를 이용한 액체형태의 손난로의 경우 최고온도가 화재를 일으킬만한 온도에 이르지 않아 화재위험은 없다지만 큰 압력을 주거나 날카로운 모서리에 찍힐 경우 터지는 것을 분명한 상황이므로 발열상태에서 터진다면 화상이 올수도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하이포의 경우 흡입 시에는 자극과 호흡곤란, 구토 등을 발생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하며 이러한 부작용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용물의 성분을 알고 싶다고 분해하는 것은 삼가야 합니다.
다음 부착형 핫팩의 주의사항은 핫팩을 맨살에 사용하지 않고 꼭 옷이나 의류에 부착해 사용하여 저온화상의 위험으로부터 방지해야하며, 또한 주머니 속에 넣어둔 핫팩을 만지작거리다가 손을 넣은 상태에서 빙판길에 넘어지는 등의 2차적인 안전사고 유발할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청 '식약지킴이' 블로그는 댓글 및 트랙백 등을 통한 많은 분들의 참여를 환영합니다. 건전한 소통을 위해 공지 내 '식약지킴이' 블로그 댓글 정책 안내를 참조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