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유해물질

[스크랩] 기생충이란?

까밥 2012. 11. 30. 13:57

 

  기생충이란 무엇인가요?

 

회충                                   십이지장충 

                                           <출처: 위키백과사전>

                       

 은 다른 생물체의 체표 또는 체내에 영구적 또는 일시적으로 서식하면서 영양분과 피신처를 제공받는 생물체입니다. 또한 기생충에게 영양분과 피신처를 제공하는 생물체를 숙주라고 합니다.

 

기생충 질환의 임상적 증후는 일반적으로 특징적이지 않아서 대부분의 예에 있어서 증상만으로 진단하는 것은 부적합니다. 확진 및 적절한 치료법의 선택을 위해서는 검사실에서 충체 또는 충란을 확인해야 합니다.
기생충의 감염은 때로는 특별한 증상을 나타내지 않으면서 만성적 경과를 밟는 수가 많은 데 이런 경우 감염자는 무증상의 기생충 보유자로서 장기간 동안 다른 사람에게 기생충을 전파시키는 감염원이되기도 합니다. 감염으로 인해서 숙주에게 치명적이거나 심각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이 기생충의 입장에서는 가장 바람직한 기생충과 숙주간의 관계라고 할 수 있습니다.

 

■ 기생충의 감염은 무었인가요?

 기생충의 숙주 침입에 대하여는 병원성 또는 비병원성 생물체가다른 생물체의 체외 또는 체내에 침입, 정착에 성공한 것을 감염 또는 침습이라고 하는데, 침습은 절족동물의 숙주 침입의 경우에 주로 사용됩니다.

                                          ※기생부위별 특성

 

기생충의 종류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나요?

1) 기생충의 종류
(1) 기생충질환예방법(보건복지부 법률 제9932호, 2010. 1. 18):기생충 질환이란 회충, 편충, 요충, 간흡충, 폐흡충, 장흡충류, 조충류 및 보건복지부령이 정하는 기생충에 감염된 경우를 말합니다.
(2) 기생충질환예방법시행규칙(보건복지부령 제1호, 2010. 3. 19):보건복지부령이 정하는 기생충이라 함은 다음의 기생충을 말합니다.
1. 이질아메바(엔트아메바 히스톨리티카)
2. 말라리아 원충(플라즈모디움 속)
3. 머릿니(페디큘러스 캐피티스)

 

2) 선충류(Nematoda)

원주상(圓柱狀)으로 좌우 대칭형이며, 충체의 양끝은 뾰족하고, 자웅이 분리됩니다. 편절이나 흡반 같은 것은 없고 색깔은 대개 유백색 또는 담홍색입니다.

감염성이 있는 유충이 숙주 체내에서 성충으로 성장하는 과정은, 회충과 같이 장벽을 뚫고 침입, 폐로 이행한 다음 장관에서 발육 성장하는 것, 구충과 같이 피부를 뚫고 들어와 폐로 이행한 다음 장관에서 발육 성장하는 것, 요충과 같이 장관에서 직접 발육 성장하는 것, 사상충과 같이 국소조직에서 발육 성장하여 자충(microfilaria)을 산출하는 것 등이 있습니다. 종류에는 회충, 요충, 편충, 고래회충이 있습니다.

 

3) 흡충류(Trematoda, distoma)  

편형동물문에 속하며 충체의 모양은 나뭇잎 모양으로 생겼고 편평한것이 특징이며 대개 소화관은 불완전하고 자웅동체입니다. 종류에는 간흡충, 폐흡충이 있습니다.  

 

3) 조충류(Cestoda, tapeworm)
편형동물문으로 두절에 흡반과 흡구 부착기관이 있고 편절로 충체가 구성되어 있으며 자웅동체입니다. 소화관이 없고 직접 체벽을 통해 영양을 섭취합니다. 종류에는 무구조충, 유구조충, 광절열두조충이 있습니다.
  

 

기생충은 어떻게 감염되나요?  

1) 기생충의 감염경로
기생충이 숙주에 침입하기 위해서는 1) 흙, 2) 물, 3) 야채와 과실 및 4) 동물 등을 매개체로 하여 침입하는 간접 전파 방법과 매개체를 이용하지 않고 한 숙주에서 다른 숙주에게로 직접 전파하는 직접 전파 방법이 있는데 숙주 체내로의 감염 경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입
인체 기생충의 대부분이 입을 통하여 감염되는데 인체 감염성이 있는 회충, 요충, 편충 등의 충란(자충 포장란)은 인체의 입을 통하여 감염됩니다.
(2) 피부
구충, 분선충의 유충이나 주혈흡충의 세르카리아(유미유충)등은 경피적으로 인체에 침입하거나, 말라리아, 사상충, 파동편모충(Trypanosoma) 등의 기생충은 모기나, 흡혈성 파리 등의 매개 곤충에 의하여 주입되어 성충으로 자랍니다.
(3) 혈액
말라리아와 같은 기생충은 수혈을 통하여 감염될 수 있습니다.

(4) 모체감염
말라리아나 톡소포자충 같은 기생충은 임신한 모체에 감염될 경우에는 태아에게 이행하여 감염되기도 합니다.
(5) 기타
그 밖의 호흡기나 비뇨생식기 그리고 결막 등을 통하여 인체에 감염될 수 있습니다.

 

                          

                              ※기생충 감염과 관계있는식품과 기생충

 

 ※ 야채류를 통하여 감염되는 기생충

 

어패류로부터 감염되는 기충 

 

   ※육류로부터 감염되는 기생충 

 

기생충예방은 어떻게 하나요?  

- 분변을 완전 처리하여 기생충란을 사멸 또는 배제시켜야 합니다.
- 정기적으로 검진하여 조기에 구충해야 합니다. 집단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 감염성 충란 또는 유충으로 오염된 조리기구를 통한 다른 식품의 오염에 유의해야 합니다.
- 수육, 어육은 충분히 가열 조리한 것을 섭식합니다.
- 채소류는 흐르는 물에 충분히 세척하고 화학비료로 재배하여 섭취해야합니다.
- 손은 항상 깨끗이 씻습니다.

 

※본 내용은 식약청에서 발간한 “위해물질총서” 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하였습니다.

좀 더 구체적인 내용을 확인하고 싶으시면

식약청홈페이지 >식품나라 > 유해물질 > 유해물질총서 >기생충 전문(http://www.foodnara.go.kr/) 

에서 관련 자료를 확인하실수 있습니다.

 

출처 : 푸드윈도우(Food Window)
글쓴이 : 위해예방정책과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