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다시보기.9) 유전자재조합식품(GMO)
(다시보기.9) 유전자재조합식품(GMO)
GMO는 우리말로 '유전자재조합생물체'라고 하며, 그 종류에 따라 유전자재조합농산물(GMO 농산물),
유전자재조합동물(GMO 동물), 유전자재조합미생물(GMO 미생물)로 분류됩니다.
이 중 GMO 농산물을 원료로 제조 가공한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을 GMO 식품, 혹은 유전자재조합식품이라고 부릅니다.
|
GMO는 식품으로도 사용되지만, 가축사료, 의약품, 에너지원 등을 만드는데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GM옥수수는 식품과 사료로도 사용되며, 포도당의 주사약이나 자동차 연료로 사용되는 에탄올을 만드는데 사용되기도 합니다. 또한, GM동물이나 GM미생물은 질병치료를 위한 백신, 호르몬 같은 의약품 생산에도 이용되고 있습니다.
|
|
지속적인 인구 증가와 경지 면적의 감소에 따른 식량문제 해결, 식품의 기능석 강화, 에너지원 개발, 환경문제, 난치병 치료 등의 대안으로 GMO를 개발해왔고, 이를 상품화 하며 시장에서 판매되고 있습니다. |
|
유전자재조합생물체(GMO)를 식품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유전자재조합식품으로서의 안전성을 식품의약품안전청으로부터 승인받아야 합니다. 안전성평가 심사방법은 “유전자재조합식품의 안전성 평가심사등에 관한 규정”에 따르며, 유전자재조합생물체 개발사가 개발 전 단계의 안전성평가 자료를 취합하여 안전성심사를 요청하게 됩니다. 제출된 자료는 각 분야별 전문가 20명으로 구성된 유전자재조합식품 안전성평가자료 심사위원회에 심사의뢰하게 되고. 심사 내용을 바탕으로 심사초안을 작성하게 되며, 추가 검토되어야 할 내용은 매월 개최되는 심사위원회에서 집중 논의되고 필요한 보완자료는 개발사로부터 보완자료를 요청하여 심사하게 됩니다. |
심사위원회에서 검토가 완료된 심사결과서(안)은 투명성확보를 위하여 식품의약품안전청 홈페이지나 정책고객관리자(PCRM)에게 일반인 공개의견
수렴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수렴된 의견은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안전성에 문제가 없음이 확인되면 최종 승인을 하게 됩니다.
이러한 안전성심사 결과는 홈페이지(http://www.kfda.go.kr, http://www.kfda.go.kr/gmo/index.do)를 통해 공개됩니다.
★유전자재조합식품표시는 이렇게 되어 있어요.
1. 제품의 용기나 포장에 바탕색과 구별되는 색깔과 활자(10포인트이상)으로 주표시면이나 원재료명 옆에 표시
2. 원재료명 옆 , 예를 들면 콩(유전자재조합) 또는 콩(유전자재조합된콩)으로 표시
3. 유전자재조합 여부를 알 수 없는 경우에는 (유전자재조합OO포함가능성 있음)으로 표시할 수 있습니다.
4. 즉석에서 만들어 판매하거나 두부류 등을 위생상자를 사용하여 판매하는 경우에는 진열 상자나 별도 게시판에 표시할 수 있습니다.
*푸드윈도우와 식약청의 GMO에 관한 글*
[식의약 안방체험 20회] GMO 바로알기 http://blog.daum.net/foodwindow/6822598
<GMO 어린이 탐정단> http://blog.daum.net/foodwindow/6822463
GMO, 넌 누구니? (1) http://blog.daum.net/foodwindow/6822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