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물질인가요? |
- 비소는 냄새나 맛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음식이나 물, 대기 중에 비소가 존재한다고 해도 일반적으로 알아채기 어렵습니다. 비소는 지구 표면에 널리 존재하는 천연 원소입니다. 산소, 염소, 황 등과 결합하여 무기비소 화합물을 생성하며, 동·식물에서는 탄소 및 수소와 결합하여 유기비소 화합물을 형성합니다. 무기비소 화합물은 주로 목재 방부제로 사용됩니다. 비소 처리 방부목은 일명 CCA 방부목이라 하여 현재는 생산이 중지되었지만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사용되었습니다. 유기비소 화합물은 주로 목화밭과 과수원에서 살충제로 사용되었습니다.
|
인체에는 어떤 영향을 주나요? |
- 일반적으로 무기비소가 유기비소에 비해 독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많은 양의 무기비소를 흡입하면 목이나 폐에 자극이 생길 수 있고, 소량의 비소에 노출되는 경우에도 구토, 혈액세포 생산 감소, 비정상적인 심장박동, 혈관 손상, 손·발에 바늘로 찌르는 듯한 감각 등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 무기비소가 피부에 닿으면 피부가 붉게 변하고 부을 수 있습니다.
- 많은 양의 무기비소를 섭취하면 사망할 수도 있으며, 피부암, 방광암, 폐암 위험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
- 사람은 보통 대기, 식수, 식품을 통해 소량의 비소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이 중 식품이 가장 큰 노출원으로 비소 함유량이 높은 식품으로는 해산물, 쌀/곡물, 버섯, 가금류 등이 있습니다.
- 해산물 중 어류 및 갑각류에 함유된 비소는 대부분 아르세노베타인(arsenobetaine)이라는 독성이 낮은 유기비소 화합물이며, 일부 해조류에는 독성이 강한 무기비소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 어린이들의 경우, 먼지나 흙을 먹음으로써 소량의 비소에 노출될 수 있으며 직업특성상 비소 생산 및 사용과 관련된 노동자, 폐기물 매립지 또는 비소가 풍부 지역 근처에 사는 사람, 비소 함유 농약이 사용되었던 지역에 사는 사람 등은 높은 수준의 비소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 비소처리 방부목을 톱질할 때 나오는 먼지나 이를 태울 때 나오는 연기를 흡입하는 경우에도 비소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
섭취 혹은 노출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
- 토양 및 물에 비소 함유량이 높은 지역에 살고 있다면, 오염되지 않은 물을 사용하도록 노력하고 가급적 흙에 접촉하지 않습니다.
- 비소에 노출되는 직업을 가지고 있을 경우, 옷, 피부, 머리카락, 도구 등에 비소를 묻힌 채 집에 가져가지 않도록 조심해야 합니다. 따라서 퇴근 전에 반드시 샤워를 하고 옷을 갈아입어야 합니다.
- 비소처리 방부목을 사용하여 작업할 때는 톱밥에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복, 장갑, 방진 마스크 등 보호 장비를 착용하도록 합니다.
|
국내외 기준이나 관련 정책은 무엇인가요? |
-
국내외 기준이나 관련 정책 |
|
|
|
|
|
|
|
|
|
|
|
국가 |
한국 |
EU |
캐나다 |
미국 |
일본 |
규격기준 및 규제 |
- 용출기준: 0.1 mg/L(셀로판, 종이·가공지제, 목재류) - 0.2g/L (금속재) - 0.5ug/mL(옹기류) (2008.12) |
- 시판 광천수 및 암반수 ML(maximum level): 0.005 mg/L (독일) - 몇가지 식품첨가물불순물로서 ML 3mg/kg (EU 몇개국) - 살충제 MRL(maximum risk level): 0.01mg/kg |
- 식수기준:0.010 mg/L |
- 식수: 0.7mg/L (EPA) - 병생수: 0.1mg/L (FDA) |
- 주스류 0.05mg/kg - 과일류 1.0mg/kg - 채소류 1.0mg/kg - 식수0.01mg/L |
최종 개정일(고시일, 작성일) |
- 2010년 현재 |
- 1998.12 고시 |
- 2006년 설정 |
- EPA: 2006년 8월 - FDA: 2010년 현재
|
- 2010. 4~ | |
|
|
|
|
| |
언론에 비친 비소 이슈 사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