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집안을 깨끗하고 깔끔하게! 살균 소독제가 식품첨가물이라고?

올 여름에도 식중독 때문에 조심하셨죠? 그런데 가을, 겨울에도 식중독은 발생한답니다!
특히 가정에서는 요즘처럼 선선~~해지는 환절기가 식중독에 가장 취약할 시기라고 할 수 있지요.
이러한 가운데, 눈에 띄는 광고 하나! 싱크대에 떨어뜨린 과일 하나! 망설임 없이 주워 입으로 직행하는 손을 보고 하는 말! "락쑤하셨군요!"
살균 소독제 광고인데요... 집안 세균을 말끔히 없애준다는 살균 소독제에 대해 식약아리아 홍다혜 기자가 자세하게 알려드립니다.
▲ 집안에 이렇게나 세균이 많이 있데요!
여러분~~!!
주방 기구들 락스나 염소 살균제로 살균소독 많이 하시잖아요~
급식실이나 그런 곳에서도 식기류나 도마, 칼 등에 살균 소독할 때도 '차아염소산나트륨수'라고 하는 약품을 씁니다.
그런데 말이죠,
이런 화학약품을 '소독 목적'이라고 해도 잘못쓰면 식중독이 걸릴 수 있거든요.
그래서 식약청이 살균 소독제 제조시 사용할 수 있는 성분들을 고시로 정리해놓았어요. ^,^*
무슨말이냐구요? 천천히 살펴보자구요.
현재 식품첨가물 공전에는 "기구등의 살균소독제"에 원료성분명이 고시되어 있구요, 고시된 성분으로 제조된 최종 제품은 규격,기준 인증절차를 받아야 국내 수입 또는 제조가 가능합니다. 그 표는 제가 첨부를 해놓았구요. ^^
제1. 제조기준 기구등의 살균 소독제 일반 2. 기구등의 살균 소독제는 유해 미생물에 대해 살균․소독 작용을 하는 유성분을 함유하여야 한다. 제2. 일반 사용기준 |
먼저 살균 소독제의 정의부터 알아 봅시다. ( KFDA 기구등의 살균 소독제 정보 발췌)
- 한국에서는 기구 및 용기, 포장의 살균, 소독의 목적에 사용되어 간접적으로 식품에 이행될 수 있는 물질을 말합니다.
- 미국에서는요. Antimicrobial pestisides라고 해서 무생물의 표면에 있는 박테리아, 바이러스, 곰팡이와 같은 유해미생물의 성장을 제거 또는 억제하는데 사용되는 물질 또는 그 혼합물을 말합니다.
그렇다면 기구등의 살균 소독제의 「살균 소독력」이란?
- 기구등 살균 소독제의 살균 소독력은 제품에 표시된 사용농도로 식품첨가물공전의 Ⅳ.일반시험법 36. 살균소독력시험법에 따라
20±1℃에서 5분±10초동안 살균 소독 처리했을 때, E. coli ATCC 10536 (또는 ATCC 11229) 및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균에 대하여 초기 균수(cfu/㎖)를 99.999%이상 감소시킬 수 있는 살균 소독제의 활성(activity)를 말합니다.
▲ 여러 종류의 살균 소독제
자.. 그럼 여기서 드는 궁금점! 살균 소독제를 사용한 후에는 물로 씻어야한다?
기구등의 살균 소독제를 규정된 농도에 따라 희석하여 사용한다면 안전성에 대한 문제는 없어요.
식품용 기구는 세척제로 세척한 후 물에 헹구고, 기구등의 살균 소독제로 20도, 5분이상 처리한 후 건조하여 사용하면 됩니다.^^
아, 그리고 하나! 알아두실 것은 세척제와 살균 소독제는 엄연히 다른 것입니다. ^^
두 역할을 동시에 하는 것은 힘들구요. 세척제는 공중위생관리법 지배하에 있고, 살균 소독제는 식품위생법 지배하에 있습니다.
간단하게 정리하는 세척제의 종류
- 1종은 야채 또는 과실에 사용되는 세척제로 효소 또는 표백 작용이 있는 성분이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산업용 식기류란 일반주방업소 및 단체급식소 등에 사용되는 식기류를 말합니다. |
소독제 종류는 할로겐계 살균제가 있어요.
할로겐 원소가 몇족이었더라.. 화학 I 과목을 떠올려보세요. 17족이었던거.. 기억나세요? F, Cl, Br, I 후후.. (전 화학을 좋아합니다. 매우매우 ㅋㅋ)
염소계
섬유표백제로 1785년경부터 염소가스 시판, 차아염소산나트륨과 칼슘염형태로 사용, 감염 창상 치료에 염소화석회 응용(19세기), 1886년 미국 공중위생협회에서 차아염소산염을 살균제로 공표, 음료수 살균에 1850년경부터 보급되었고 식품공장 사용은 낙농계에서 1910년경부터 시작하여 통조림, 냉동분야 살균제로 사용하였습니다.
1) 무기염소계 살균제
물질명 |
특성 |
활성성분 화학식 |
유효염소량 (%) |
차아염소산 칼슘 |
- 유효 염소 25~40% 함유, 백색 분말, 불안정, 수분, 공기, 광선, 열의 작용에 의해 유효 염소가 저하, 통상 용해 시 9~10배 물 필요 - 고도염소산칼슘 : 유효염소 60% 이상의 백색입상, 분말 |
Ca(OCl)2·2H2O, Ca(OCl)2Ca(OCl)2 |
65-7070-7250-52 |
차아염소산 나트륨 |
유효염소 4% 이상, 무색, 담록 황색 액체, 염소 냄새, 상당히 불안정하나 pH 11이상이면 안정 |
NaOClNaOClNaOCl |
0.4-0.512-155.25 |
차아염소산 리튬 |
|
LiOCl |
30-35 |
염소화 인산삼나트륨 |
|
4(Na3PO4·11H2O)NaOCl |
3.5 |
이산화염소 |
산화력 강, 물처리에 유리 |
ClO2·10H2O |
17.0 |
① 차아염소산염
- 광범위한 미소 생물에 대해 파괴, 살멸작용력 가짐(virus, 무포자 세균, 항산성 세균, 세균 포자, 곰팡이, 조류, 원충류에도)
- 유기물 존재하지 않을 경우 1~10ppm정도의 저농도에서 단시간 살멸, 세균포자, 곰팡이는 저항 큼.
- Bacillus보다 Bacillus보다 Clostridium에 대해 감수성이 높다 ^^
차아염소산염의 문제점
- 보통의 적용 농도(10ppm이하)에서는 금속 부식성은 없으나, 용수 중에 황산염, 염화물 존재 시 표면, 관 부식시킴.
- 염소 첨가수 사용으로 직접 접촉되는 식품의 품질저하 가능성 있다.
- 기타 약제(잉크, 페인트, 목재방부제, 각종 분무제, 손세정제, 청관제)와 반응하기도 한다.
② 이산화염소
- 아염소산나트륨과 염소와의 반응으로 생성(2NaClO2 + Cl2 → 2ClO2 + 2NaCl)
- 산화력이 강하고 암모니아나 질소 화합물과의 반응성 없다.
- 염소보다 물에 오래 잔존하므로 유기물이 다량 존재하는 물 살균에 이용한다.
- 페놀 화합물을 분해하는 능력이 있고, 무포자 세균에 강력한 작용을 하며, 포자 형성 세균에 대해서는 고농도가 필요하다.
- 염소와 달리 Bacillus에 대해 보다 강하게 작용한다.
- 가수 분해가 안되고 분자 자신이 작용본체가 되어 작용한다.
- 살균 작용의 pH 의존성은 없고, 온도 영향 있어 저온일 때 활성 저하된다.
2) 유기염소계 살균제
- 모두 '=N-Cl기'를 가지고 있어 수용액 중에서 가수 분해, imino기(=NH)와 HOCl이 됨.
- 온도에 대한 pH 영향이 크고, 살균 작용 느리며 산성으로 갈수록 작용이 증강된다.
- 유기 염소 살균제에 브롬, 요오드염류를 넣으면 살균 작용 상승되며
- pH의 영향이 적은 유기염소 살균제는 알칼리 세정제와 혼합하여 살균, 세정제를 조정 가능하다.
요오드계
1839년 창상에 처음 사용, 1862년 미국 남북전쟁 통해 효과가 알려지고, 1830년 미국 Pharmacopea에 정식으로 인정되었습니다.
1) 요오드계 살균제
- 반응성 강하고, 함질소 화합물이나 halamine은 생성하지 않는다.
- 살균 작용의 본체는 유리 요오드, 피부 살균제로 주로 이용되어 왔다.
- 낮은 pH에서 살균작용 크고, 알칼리 용액에서는 작용 미미하다.
- 이용되는 형태는 요오드 수용액, 요오드 알코올 용액과 iodophors가 있다.
▶ Iodophors
*polyvinylpyrolidone 또는 계면활성제가 요오드와 복합체를 형성하여 살균력 가지며, 일반요오드용액의 안 좋은 성질을 가지지 않아 제제화
*carrier에 의해 요오드의 용해도 상승, 수용액 중에서 안정화, 무취, 염색성, 피부에 대한 자극성도 현저히 감소시킨다.
carrier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이다. carrier에 둘러싸인 요오드의 80~90%가 희석에 의해 살균력을 가지고, 남은 것은 계면활성제와 결합된 채로 존재한다. 일반 시판품의 유효 요오드 농도는 0.5~1.75%정도이다.
* 사용시 pH가 5.0이 되도록 금속 부식성이 적은 인산, 구연산 등 이용 : 발포성과 세정성 증가 위한 연구도 진행되며, 반면 발포성 억제 위해 글리신 첨가제제도 있다. 낙농계, 일반 식품공장의 기수, 용기, 장치 등 표면의 세정살균이나 물처리에 이용한다.
식품공전 고시 1173.식품등의 표시기준에 따르면요. (살균 소독제는 식품첨가물이랍니다 ^^)
나. 식품첨가물 식품의 세부표시사항 7) 및 8)를 준용하되, 기구 또는 용기․포장의 살균․소독제(이하 “기구등의 살균․소독제”라 한다)에 있어서는 유효성분의 성분명과 함량을 표시한다. (1) “기구등의 살균․소독제”로 표시하여야 한다. (2) 사용방법(제품의 희석방법, 살균․소독 대상별 사용방법 및 사용량 등) 및 주의사항을 표시하여야 한다. 다만, 사용방법을 표시하기 어려운 때에는 동 사항을 기재한 사용안내서를 제품의 용기․포장 내부에 동봉할 수 있다. |
이렇게 식품에 표시해야한다고 하네요 ^^
채소 및 과일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그리고 부패를 막기 위하여 쓰는 살균 소독제.
음용수를 살균 소독하고, 육류나 어패류 등의 비린내 · 핏물 제거 및 살균 소독을 위해 쓰고, 주방용기(도마, 행주, 식기, 물컵 등)을 살균 소독하고 악취 제거 및 냄새 제거를 위해 쓰지요.
이러한 살균 소독제는 품목에 따라 기준 및 규격을 올바른 방법으로 인정받고 시장 활성화를 통하여 식중독 예방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살균 효과도 높이고 살균 지속성은 높이면서 식품에 대한 안전성도 높일 수 있다면 그야말로 금상첨화겠죠? ^,^*
담아가실 땐, 댓글 아시죠?, '추천'도 꾸욱~ 눌러주시는 쎈쓰!!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