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 자급자족 시대 성큼 다가와!
- 백신 자급능력을 2017년까지 주요백신 27종 중 22종으로 확대 -
□ 식품의약품안전청(청장 이희성)은 우리나라의 백신 자급능력을 높이기 위하여 국내 주요 백신 27종 중 10종에머물러 있는 국내 생산 백신을 2017년까지 22종으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현재 국내 주요 백신 27종은 B형간염 백신 등 필수예방접종백신으로 지정된 12종과 헤모필루스인플루엔자b형(Hib) 백신 등기타예방백신 11종, 탄저나 조류인플루엔자 백신 등 대유행이나 대테러 백신 등 4종으로 구분하였다.
○ 지난해 내수시장에 공급된 백신은 총 4,900만 도즈로 이 가운데 45%인 2,200만 도즈 만이 국내에서 생산되고 있다.
- 국내 생산·공급된 주요품목은 인플루엔자 백신(1,000만 도즈), B형간염백신(420만 도즈), 일본뇌염 백신(150만 도즈) 등이다.
□ 향후 국내 생산 백신 자급률 제고 계획은 필수예방접종백신, 기타예방접종백신, 대유행 및 대테러 예방백신 등으로나뉘어 연도별로 진행될 예정이다.
○ 필수예방접종백신은 총 12종 중 현재 6종이 국내 생산가능하며 2015년 9종, 2017년에는 11종까지 그 수를 늘릴 계획이다.
※ 필수예방접종백신 : 수두, 장티푸스, B형간염 등 국가에서 예산을 투입하여 접종을 권장하는 백신으로 보건소·의료기관에서 접종가능
○ 기타예방접종백신은 총 11종 중 현재 3종이 국내 생산가능하며 2015년 4종, 2017년에는 7종까지 늘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 기타예방접종백신 : A형간염, 폐렴구균 등 필수예방접종 외의 백신으로 개별 경비로 의료기관에서 접종하는 백신
○ 감염병의 대유행이나 대테러 등을 대비한 백신은 현재 총 4종 중 1종이 국내 생산 가능하며2015년 3종, 2017년에는 4종이 모두 국내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 현재 국내 제약사들이 임상시험을 진행하고 있거나 자체 기술개발 중인 백신은 13종 19품목이다.
○ 조류인플루엔자 백신, 성인용 디프테리아·파상풍(Td) 등 4품목은 임상시험이 진행 중이며, 대상포진, 인유두종 백신 등6개 품목은 임상시험 승인을 신청한 상태다.
○ 폐렴구균 백신 등 나머지 9개 품목은 비임상시험 중이거나 기술개발 중에 있다.
□ 식약청은 백신개발 지원을 위하여 국내 제약사들과 협의체 구성하여 백신제조소 신축·이전시 필요한 기술을 지원하고,백신개발부터 허가까지 전 과정에 걸친 맞춤형 컨설팅을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 또한 국내에서 개발되는 백신의 해외시장을 개척하기 위하여 세계보건기구(WHO) 등과 긴밀한 협의를 통한 수출지원도 병행하고 있다.
출처:식품의약품안전청>뉴스/소식>언론홍보자료>백신 자급자족 시대 성큼 다가와!
http://www.kfda.go.kr/index.kfda?mid=56&pageNo=1&seq=17998&cmd=v
'기타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여름 휴가철 꼭 알아야 할 식ㆍ의약품 사용 주의사항!!-식중독 (0) | 2012.11.30 |
---|---|
[스크랩] 여름철(폭염 시), 식품안전을 위해 이렇게 행동하세요! (0) | 2012.11.30 |
[스크랩] 대장균은 나쁜균! 좋은균? (0) | 2012.11.30 |
[스크랩] 똑똑하게 먹고 다함께 건강해져요~! (0) | 2012.11.30 |
[스크랩] 커피믹스 봉지에는 과학이 담겨있어요! (0) | 2012.1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