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2년도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 인정 현황 분석결과 발표 -
#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 인정 감소추세!
식약청에서는 2012년 건강기능식품 기능성원료의 개별 인정 현황을 분석해보았는데요. 상승세였던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 인정 건수가 2009년 이후 감소 추세로 나타났습니다.
2009년 97건에 달했던 개별인정 건수는 2010년 68건, 2011년 424건, 2012년 38건으로 점차 줄어들고 있는데, 최근 2~3년간 인정 건수가 감소하는 것은 개별인정 원료의 상당수를 차지하는 수입 소재의 신규 발굴이 포화 상태에 이르렀는 데다 국내 개발소재는 연구투자에 상당한 시간이 걸리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됩니다. 2012년 인정된 총 원료 중 국내 개발 비중은 예년과 비슷한 수준이 26%대 였습니다.
[건강기능식품 기능성원료 수입/국내 제조 현황]
# 감소세에도 국내 및 신규 연구 개발은 다양화~
한편, 지난해 체지방감소, 간겅강, 기억력․혈행개선 기능성 등 개별 인정 건수가 줄어들고 있는 가운데서도 신규 기능성원료의 개발은 여전히 활기를 띄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 중에서도 피부보습 기능으로 인정받은 민들레등복합추출물, 면역 기능 증진으로 인정받은 청국장균배양정제물, 콜레스테롤 개선으로 인정 받은 씨폴리놀 감태주정추출물 등이 국내 개발 원료로 인체적용시험을 거쳐 신규로 인정됐습니다.
또한 소비자의 사랑을 대표적으로 받았던 ‘홍삼농축액’은 국내 연구를 통하여 ‘항산화’ 기능성이 새로 추가되는 등 기 상용화된 소재에 대한 기능성 연구도 활발했고, 아울러 2012년에는 ’간건강․관절/뼈건강․혈당조절(각 5건)’, ‘피부건강(4건)’, ‘피로개선․긴장완화․체지방감소․항산화(각 3건)‘ 인정 품목은 여전히 인기가 있었습니다. 참고로, 지난해 인정된 기능성원료를 사용하여 제품화된 건강기능식품은 관절건강(9품목)이 가장 많았으며, 체지방감소(7품목), 간건강(6품목), 콜레스테롤개선(5품목) 순이었습니다.
그렇지만, 지난해에는 예년에 비해 기능성원료 시장에서 뚜렷이 주목받은 기능성 원료는 없었습니다. 그나마 최근 2~3년간 선풍적인 인기를 누렸던 밀크씨슬 추출물(간건강)이 가장 많이 인정됐으나, 그마저도 5건에 그쳤습니다. 과거 시장에서 크게 관심을 받았던 기능성 원료에는 2008년 코엔자임Q10(눈건강, 11건), 2009년 ‘가르시니아캄보지아껍질추출물(체지방감소, 20건) 및 밀크씨슬추출물(간건강, 10건), 2010년 은행잎추출물(기억력개선․혈행개선, 11건) 및 밀크씨슬추출물(간건강, 10건), 2011년 홍경천추출물(피로개선, 8건) 등이 있습니다.
현재 국내 천연생물자원을 활용한 다양한 소재가 기능성원료로 신청되는 등 향후 기능성원료 인정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식약청에서는 새로운 기능성 원료가 조기 사용화될 수 있도록 기술상담 및 지원을 강화해 나갈 것이며,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소비자의 식품 선택 및 영업자 연구개발 등에 도움을 드리고자 <건강기능식품 기능성원료 인정현황> 책자도 발간했습니다.
이번 책자는 ▲건강기능식품에 사용되는 기능성원료 ▲기능성내용 ▲일일섭취량 ▲섭취 시 주의사항 등을 알기 쉽게 정리했으며, 해당 자료는 홈페이지〔www.kfda.go.kr → (정보자료 → 법령자료 → 지침, 가이드라인, 해설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상 식약지킴이
식품의약품안전청 '식약지킴이' 블로그는 댓글 및 트랙백 등을 통한 많은 분들의 참여를 환영합니다. 건전한 소통을 위해 공지 내 '식약지킴이' 블로그 댓글 정책 안내를 참조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기타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명절 음식, 칼로리 알고 드세요? (0) | 2013.02.18 |
---|---|
[스크랩] [애플리케이션 활용기] 고열량 저영양 식품을 찾아라! (0) | 2013.02.18 |
[스크랩] 다문화가정을 위한 생활밀착형 식의약 정보 사이트 (0) | 2013.02.18 |
[스크랩] 운동도 하고 체험도 하는 새해맞이 `힐링`은 온천여행으로~ (0) | 2013.02.18 |
[스크랩] 식품 중 방사능 안전관리 강화 위해 식약청-한국원자력연구원 MOU 체결! (0) | 2013.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