립스틱과 납, 계속되는 논란
1990년대부터 끊이지 않고 제기되어 온 립스틱 납 검출 논란이 다시한번 불거졌습니다.
FTA는 지난 2010년 2월부터 7월까지 미국소매점에서 유통되는 립스틱 제품 400개의 납 성분 모니터링 조사를 시행하였습니다.
그 결과 평균 납 검출량은 1.11ppm으로 최소 0.026ppm에서 최대 7.19ppm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FDA는 납의 함량 수치가 염려할 수준의 양이 아니라고 밝혔지만 '안전한 화장품 캠페인'은 사탕을 대상으로 정해 놓은
납 0.1ppm을 넘는 수치가 립스틱에 함유되어 있다며, 립스틱도 사탕과 마찬가지로 입안에 들어가 섭취될 수 있기 때문에 문제가
된다고 반박했습니다. 납 성분이 많이 검출된 10개의 립스틱 브랜드가 모두 한국으로 수입되고 있는 제품인 만큼 립스틱을
바라보는 소비자의 마음이 편치 않을 터, 립스틱을 통해 섭취하는 납은 평소 식사나 호흡 등으로 섭취하는 납의 수백분의 1에
불과하다는 화장품 회사의 설명에도 불구하고 납 성분이 검출된 것 자체에 의심을 품는 국내 소비자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습니다.
인체에 유해하지 않은 안전한 수치로 밝혀져
이러한 논란의 중심에서 식약청은 수입 립스틱은 물론 국내 립스틱의 납 성분에 대한 의문을 제기라는 소비자들에게
미국 내 립스틱에서서 검출된 납의 양은 FDA도 안전한 수치라고 밝힌 바 있으며, 우리나라 기준에도 적합하다는 설명자료를
발표했습니다. 납은 환경 중 어느 곳에나 미량으로 존재하는 오염 물질로, 현재 우리나라는 화장품 제조 시에 배합금지
물질로 철저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다만. 환경으로 부터 오염될 가능성이 있어 화장품 최종 제품에 대한 기준을 20ppm 이하로
설정하여 관리하고 있는 것, 미국, 일본은 화장품 중 납 기준이 설정되어 있지 않으며, 중국은 40ppm, 독일은 우리나라와
동일한 20ppm입니다.
식약청은 매년 화장품에 대한 유통 및 품질관리 계획을 세계 700~800품목에 대한 중금속 등, 안전관리를 시행하고 있으며,
해외 위해 정보 들을 바탕으로 관리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하루에고 몇 번씩 립스틱을 바르는 여성들에서 이번 립스틱 남 검출 사건은 '불편한 진실'로 다가왔을 것입니다.
하지만 인체에 유해하지 안다고 발표된 이상 립스틱에 대한 과도한 불안감은 어느정도 접어둬도 될것 같습니다.
단, 이번 사건을 계기로 화장품 업계에서는 소비자들의 건강을 위협하는 성분에 대해 주의가 필요할 것입니다.
출처:식품의약품안전청>정보자료>홍보물자료>웹진 열린마루>소비자를 위한 열린마루 2012년 3+4월호
http://www.kfda.go.kr/webzine/201204/ibook_12mar.jsp
'기타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잔류농약, 이제 걱정하지 마세요 (0) | 2012.10.28 |
---|---|
[스크랩] `2012여수세계엑스포` 식음료 안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다 (0) | 2012.10.28 |
[스크랩] 수입금지된 일본 농산물 (0) | 2012.10.28 |
[스크랩] 소비자가 꼭 알아야할 화장품법 개정내용 (0) | 2012.10.28 |
[스크랩] 자동제세동기(심장 충격기) 어떻게 사용할까요? (0) | 2012.1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