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내미생물에 대한 모든 것을 알려드립니다.
- ‘생활속 장내미생물 바로알기’홈페이지 구축 -
식품의약품안전청(청장 이희성)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은 건강한 삶의 새로운 화두로 떠오른 장내미생물에 대한 일반인들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장내미생물에 대한 다양한 내용을홈페이지에 공개한다고 밝혔다.
홈페이지에 공개되는 주 내용은
생활 속 장내미생물 바로알기,
장내세균 동영상,
미생물 용어사전,
장내미생물 관련 논문 등 최신 정보,
미생물 사진 등의 다양한 장내미생물
관련 정보다.
식약청은 장내미생물이 우리 몸의 소화관 내에 존재하는 미생물로 식품 및 의약품 등의 대사에 주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비만과 아토피 등의 질환에 깊이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고 설명하였다.
특히 장내에는 유익한 균과 유해한 균이 공존하고 있는데 외부로부터 유입된 음식물, 의약품 등에 의해 장내 환경이 결정되므로 고지방, 고단백 식사는 장내 유해균을 증가시켜 독성물질로 인한 점막자극, 용종생성 등 장 질환의 원인이 된다.
반면 김치 등 발효식품과 채식은 풍부한 식이섬유소를 공급하여 장내 유해물질이 대장에 머무는 시간을 감소시켜 장 건강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준다.
식약청은 이번 장내미생물 홈페이지 공개를 통해 국내 장내미생물에 대한 국민적 관심을 다시금 불러일으켜 국민보건 향상에 기여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된다고 밝혔다.
장내미생물에 관한 여러 정보는 식품의약품안전청 ‘생활 속 장내미생물 바로알기’ 홈페이지(http://rndmoa.kfda.go.kr/healthyintestine) 자료실에 게재되어 있다.
‘생활 속 장내미생물 바로알기’ 블로그(http://metabol.tistory.com) 및
트위터(http://twitter.com/#!/drugmetabol)를 통해서도 이용 가능하다.
장내미생물에 대해 조금더 알아볼까요?
개요
사람이 살아가는 환경에는 세균을 포함한 수많은 미생물이 공존하고 있다. 이러한 미생물 중에서도 더욱 사람의 건강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는 것이 장내 세균총(intestinal flora)이다. 우리의 몸속에는 100조 개 이상의 장내세균이 서식하고 있다.
분류
우리 몸에는 유해균과 유익균, 중간균이 공존한다. 그것을 통틀어 장내세균이라 할 수 있다. 이 유익균과 유해균이 적절한 균형을 이루며 살고 있어야 우리는 건강을 유지할수 있다. 장내세균 중 유익균(우리 몸에 이로운 균)의 세력이 크면 병을 일으키는 균이 침투하더라도 물리쳐 건강을 유지할 수 있다. 중간균은 유해균이 많아지면 유해균이 될수도 유익균이 많아지면 유익균이 될수 있는 균이다. 그렇기 때문에 유해균이 더 많아지면 중간균까지 유해균이 되고 몸은 더 나빠질수 있다. 유해균(우리 몸에 해로운 균)의 세력이 크면 면역력이 저하되어 병원균의 활동을 도와 각종 질환을 유발한다. 따라서 유익균과 유해균의 균형을 지키는 것이 건강을 유지하는 비결이다. 소화관에 서식하는 장내 세균총을 자세히 관찰해보면 장내세균은 일단 정착하면 크게 변동하지 않는 정주균(상주균)이 있고, 2~3일내에 자취를 감추는 통과균이 혼재되어 서식함을 알 수 있다. 사람의 장내에 정착하고 있는 우세균인 Bacteroides, Bifidobacterium, Eubacterium, Anaerobic Streptococcus, 그 외 열세균인 대장균, 장구균 등도 여기에 속한다. 한편, 통과균은 음식물과 함께 장내에 들어와도 장내에 계속해서 사는 것이 불가능하다. 생체의 감염방어력 또는 정주균에 의해 정착하지 못하고 배설되고 만다.
의의
이와 같이 숙주와 장내세균의 관계는 숙주의 장내에서 물리적, 화학적, 영양적, 면역적 반응들의 평형을 이루면서 형성된 것이 정상 장내 세균총이다. 이러한 것은 일시적으로 외부의 요소에 의해 균형을 잃을 수 있으나 곧 원래의 장내 세균총으로 회복된다. 만약 장기간 균형이 깨어지는 경우에 만성병을 일으킨다.
Bifidobacterium_stercoris
Bacteroides faecis
출처:
품의약품안정청>뉴스/소식/보도자료
생활속 장내미생물 바로알기 홈페이지
http://rndmoa.kfda.go.kr/healthyintestine/sub02_2.jsp
http://rndmoa.kfda.go.kr/healthyintestine/boardView.do?boardtype=M0605&pageNum=1&seq=2&subseq=1
http://rndmoa.kfda.go.kr/healthyintestine/boardView.do?boardtype=M0605&pageNum=1&seq=1&subseq=1
'기타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아이의 미래가 결정될 안전수칙.2]영.유아용 의료기기의 안전한 사용 (0) | 2012.11.30 |
---|---|
[스크랩] [아이의 미래가 결정될 안전수칙.1] 민감한 아이의 피부보호를 위해 (0) | 2012.11.30 |
[스크랩] 2012년 식의약 안방체험 참가 후기 이벤트 안내 (0) | 2012.11.30 |
[스크랩] 우리나라는 떡국, 세계 각국의 새해 음식은? (0) | 2012.11.12 |
[스크랩] 추운겨울, 핫팩으로 안전하게 겨울나기 (0) | 2012.1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