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후변화와 식품안전에 대한 소비자 인식도 설문 조사 결과 발표-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에서는 기후 변화에 따른 소비자 식품 안전 인식을 제고하고 기후변화 대응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지난 5월1일부터 18일까지 1,200명의 20~60대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기후변화와 식품안전에 대한 소비자 인식도 설문 조사’를 실시했습니다.
이번 설문 조사 결과, 우리나라 국민이 느끼는 기후변화에 대한 체감도와 기후변화 영향의 심각성 인지 수준은 2010년에 비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지만,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실천 정도는 여전히 미흡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 국민 대부분, 기후변화에 따른 식품안전 영향 심각성 인지!
일상 생활에서의 기후변화 체감 정도를 조사한 결과 전체 응답자의 98.9%가 ‘기후변화를 체감한다’고 응답해, 2010년 88.1%에 비해 크게 증가했습니다. 특히 ▲국지성 호우 현상(4.27점) ▲여름철 냉방기기 가동 시간 증가(4.26점) ▲열대야 일수 증가(4.25점)에 의한 체감도 높았습니다.
[기후변화 체감 정도의 변화]
기후변화 영향이 심각하다고 인지하는 응답자는 전체 91.3%로 2010년 76.1%보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고, 대부분의 응답자(91.9%)가 ‘우리나라 평균 기온 상승이 지구 온난화 때문’이라고 응답했으며, ‘기후변화가 우리나라 농산물 생산에 영향을 준다’고 생각한 응답자가 전체 88.6%에 달했습니다. 또한 응답자의 70% 이상이 기후변화가 결과적으로 식품 안전에 심각한 영향을 준다고 답했고, 특히 ▲가축 질병 발생 증가(4.14점) ▲농약 사용량 증가(4.08점) ▲농산물 중금속 오염 증가(4.04점) ▲신종플루 등 해외 신종 병원체 유입(4.01점) 등에 큰 영향을 줄 것이라는 응답이 많았습니다.
# 인지도와 달리, 기후변화 대응 실천 정도는 낮아!
그러나, 이러한 기후변화 영향 심각성 인지 정도에 비해 소비자들의 기후변화에 대처하는 자세(이산화탄소 배출 저감 행동)는 미온적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산화탄소 배출을 낮추기 위한 행동 중 비교적 실천을 잘하는 행동은 ▲외출 시 소등하고 사용하는 곳만 전등 켜기(4.01점) ▲에너지효율이 높은 가전제품 구매(3.76점) ▲수도꼭지 틀지 않고 세수나 양치질하기(3.70점) ▲가까운 거리는 걷기(3.68점) 순으로 나타났고, 아울러, 식품관리와 관련한 이산화탄소 배출 절감에 대한 실천 정도를 측정한 결과 평균 3.49점으로 중요성 인식도 3.96보다 낮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실천 정도는 ▲설거지 물 사용 줄이기 ▲잔반 남기지 않기 ▲음식물 쓰레기 줄이기 ▲시장, 마트 갈 때 걸어가기 순으로 높았습니다.
[기후 변화 대응 행동이 미흡한 이유]
기후변화 인지 정도와 달리 기후변화 대응 행동이 미흡한 이유로는 ‘그냥 귀찮아서’라는 응답이 전체 27.8%를 차지해 가장 많아 2010년 조사 당시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이는 구체적인 방법 등 정보가 부족 하다는 답변이 다소 높게 나타났던 것과는 다른 양상을 보였습니다. 이 밖에도 ▲혼자해서는 효과가 없을 것 같아서(22.4%) ▲개인에게 당장 이득이 없고 힘만 들어서(18.3%) 등의 응답이 높게 나타났습니다.
식약청은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기후변화와 식품안전에 대한 소비자 인식 제고를 위해 홍보 자료 개발 및 교육 실시 등 적극적 대국민 홍보를 해나갈 방침입니다.
이상 식약지킴이
식품의약품안전청 '식약지킴이' 블로그는 댓글 및 트랙백 등을 통한 많은 분들의 참여를 환영합니다. 건전한 소통을 위해 공지 내 '식약지킴이' 블로그 댓글 정책 안내를 참조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기타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술 깨는 술 이야기] 연말 술자리, 피할 수 없다면 건강하게 즐기자! (0) | 2013.01.02 |
---|---|
[스크랩] [테마가 있는 여행] 그때 그 장면 속으로 여행을 떠나다! (0) | 2013.01.02 |
[스크랩] 떡류, 4시간 이내에 섭취하세요~ (0) | 2012.12.15 |
[스크랩] 어르신을 위한 식생활 안전가이드를 아시나요? (0) | 2012.12.15 |
[스크랩] 청소년의 비만과 식사장애, 이렇게 지켜주세요~ (0) | 2012.1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