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모 백화점의 10만원권 상품권을 위조해 판매한 人이 구속되었다는 소식을 접했습니다.
위조 방식이 아주 세련??되고 교묘해서 웬만해서는 진품· 짝퉁 을 구분하기 쉽지 않았다던데요,
상품권, 현금, 가방, 지갑, 의상까지! 이런 것들에만 가짜, 짝퉁이 있는 건 아니죠??
매일, 우리의 식탁에 올라오는 각종 농·축·수산물들도 원산지 표시가 제대로 되지 않고 있다는 보도도 있었습니다.
진짜 국내산과 짝퉁 수입산, 여러분은 제대로 구별하실 수 있으세요?
저는... 참 어렵던데요... 식약아리아 김지혜 기자가 '농수산물 원산지 비교 전시회'에 다녀왔습니다.
어떤게 진짜 국내산이고, 어떤 것들이 가짜 국내산(수입산)인지.... 알 수 있을까요??
(☞ 본 기사에서 '짝퉁'이란 수입산 식품 전체를 일컫는 것은 아니며, 수입산임에도 '국내산'이라는 명패를 내걸고, 둔갑하여 판매되고 있는 것을 지칭함)
최근 특급호텔에서도 원산지를 속여서 파는 것이 적발되었습니다! 이게 얼마나 무서운 일인가요~ 최고라고 자랑하는 특급호텔에서도 원산지를 속이다니!!! 요리가 돼서 나오니 우리는 원산지를 전혀 알 수가 없죠. 판매자의 양심을 믿는 수 밖에 없는데 그런 일이 일어나다니 참 마음이 아프군요! (사실 요리 되기 전의 식품들도 눈으로 구분을 할 수가 없긴 하지만요 ^^;)
먹거리 안전이 대두되고 있는 요즘.
소비자시민모임과 서울시는 ‘농수산물 원산지 비교전시회’를 열어 소비자들에게 원산지 구분 방법에 대해 알리고 있습니다!
그래서 제가 그 현장에 찾아가 보았습니다!
지난 6월 23일~26일까지는 영등포구청역에서 진행이 되고 있었는데요~! 지나가는 시민들은 먹거리에 연관돼 있는 만큼 직접 농산물들을 만져보면서, 설명을 들으면서 많은 관심을 보였습니다.
그렇다면 이제! 농수산물을 한번 비교해 볼까요?
우선 김치를 만들 때 들어가는 속 재료들의 원산지 구별법을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고춧가루
국내산 |
수입산 |
붉은 빛이 약하다 매운 맛과 냄새가 약하다 고춧가루가 부드럽다 |
붉은 빛이 강하다 매운 맛과 냄새가 강하다 고춧가루가 거칠다. |
건고추
국내산 |
수입산 |
<일반 건고추> 덜 맵다 과육이 두껍고 품위가 양호하다 꼭지가 미끈하고 깨끗하다 |
<일반 건고추> 아주 맵고 과육이 얇고 거칠다 윤택이 적게난다 몸통이 납작하게 눌려있고 부서진 것이 많다
<냉동수입 후 건조한 고추> 꼭지와 몸통부위에 꿀을 발라 놓은 것 같아 반짝이는 현상이 있고 끈적 거린다. |
마늘
국내산 |
수입산 |
끝부분이 대부분 뾰족하다 뿌리 부분의 면적이 좁다 물로 세척한 깐마늘 뿌리부분이 거의 흰색이다 면과 면사이가 둥그스름하다 색깔이 연노랑색을 띤다 기형 마늘이 거의 섞여 있지 않다 껍질 분리가 잘 안돼 상처가 많고 투명한 표피가 많이 붙어있다 |
끝부분이 뭉툭하거나 뒤쪽으로 치우쳐 있다(중국 창산산) 뿌리 부분의 면적이 넓다 물로 세척한 깐마늘 뿌리 부분이 검게 변색한 것이 많다(중국 지양산) 면과 면 사이에 각이져 있다 색깔이 흰색을 띤다 기형 마늘이 많이 섞여 있다 표면에 상처가 적고 투명한 표피가 적게 붙어있다 |
생강
국내산 |
수입산 |
울퉁불퉁하고 거칠다 색깔이 진하다(황토색) 표면에 흙이 묻어 있다 한덩어리에 작은 알이 여러개 붙어 있다 알이 잘며 한 덩어리가 작다 |
편편하고 매끈하다 색깔이 연하다(연한 갈색) 물로 세척되어 겉이 깨끗하다 한 덩어리에 큰 알이 적게 붙어있다 알이 굵으며 한 덩어리가 크다 |
그렇다면 곡물은 어떻게 비교할 수 있을까요? 저 같은 경우는 국내산과 수입산의 곡물 차이를 잘 모르겠더라구요.
우리 한 번 잘~ 살펴봐요!
검정콩(사리태)
국내산 |
수입산 |
낟알이 굵고 둥글다(약콩은 제외) 배꼽속의 눈모양이 회색의 타원형이며 그 속에 ‘-’자 형의 갈색 선이 뚜렷하다 껍질 안쪽이 연한 회색 또는 미색을 띤다 종실이 연한 녹색을 띤다 낟알의 크기가 고르지 않다 씨눈의 길이가 수입에 비해 짧다 |
낟알이 작고 둥글넓적하다 배꼽속의 눈모양이 회색의 타원형이며 그 속에 ‘-’자 형의 갈색 선이 희미하다 껍질 안쪽이 진한 갈색을 띤다 종실이 진한 녹색을 띤다 낟알의 크기가 대체적으로 균일하다 씨눈의 길이가 국산에 비해 길다 |
일반콩
국내산 |
수입산 |
껍질이 얇고 깨끗하다 윤택이 많이 난다 병든 낟알이 많이 섞여 있다 가로로 잘린 낟알이 섞여 있지 않다 미숙립의 혼입이 많다 낟알의 굵기가 고르지 않다 배꼽 속의 눈모양이 회색, 미색, 황색의 타원형이며 그 속에 ‘-’자 형의 갈색 또는 미색 선이 있다 뉴엠지(New M.G)시약을 처리하면 연한 청색으로 변하는 것이 많다 |
껍질이 두껍고 거칠다 윤택이 적게 난다 병든 낟알이 적게 섞여 있다 가로로 잘린 낟알이 석여있다 미숙립의 혼입이 적다 낟알의 굵기가 고르다 배꼽 속의 눈모양이 미국산은 검은색의 타원형이며 중국산은 희미한 흔적을 보인다 뉴엠지(New M.G)시약을 처리하면 진한 청색으로 변하는 것이 많다 |
쌀
국내산 |
수입산 |
수분이 많다(정부미 제외) 길이가 짧고 폭이 넓어 둥글다 배부분에 흰점이 있는 낟알(복백립) 및 뿌연 낟알(분상질립)이 많다 중국산보다 낟알이 크고 금간 낟알과 부서진 낟알이 적다 |
수분이 적다 길이가 약간 길고 폭이 좁아 길쭉하다(중국산 제외) 배부분에 흰점이 있는 낟알 및 뿌연 낟알이 거의 없다(중국산 제외) 중국산보다 낟알이 작고 금간 낟알과 부서진 낟알이 많이 섞여 있다 |
수수쌀
국내산 |
수입산 |
낟알이 둥근편이다 반투명 낟알이 거의 없다(수분이 많은 경우 제외) 낟알에 붉은 속껍질이 남아있다 요오드 시약을 처리하면 자주색으로 변하는 것이 거의 없다 |
낟알이 약간 길쭉한 편이다 반투명 낟알이 많이 섞여 있다(8~31%) 낟알에 연한 속껍질이 남아 있다 요오드시약을 처리하면 자주색으로 변하는 것이 많다 |
참깨
국내산 |
수입산 |
낟알이 잘고 길이가 짧다 씨눈이 뾰족하다 미숙립이 많고 홀쭉하다 색깔이 다른 낟알이 조금 섞여 있다 껍질이 벗겨진 낟알이 거의 없다 가운데 골의 선이 희미하다 낟알을 만져보면 촉감이 부드럽다 |
낟알이 굴고 너비가 좁아 길어 보인다 씨눈이 뭉툭하다 미숙립이 적고 통통하다 색깔이 다른 낟알이 많이 섞여 있다 껍질이 벗겨진 낟알이 섞여 있다 가운데 골의 선이 뚜렷하다 낟알을 만져보면 촉감이 거칠다 |
팥(적두)
국내산 |
수입산 |
낟알의 크기가 고르지 않다 낟알의 모양이 둥글다 붉은 색이 짙고 윤택이 많이 난다 배꼽 속의 흰색 띠가 뚜렷하다 |
낟알의 크기가 고르다 낟알의 모양이 길쭉하다 붉은 색이 옅고 윤택이 난다 배꼽 속의 흰색 띠가 뚜렷하지 않다 |
구분이 잘 가지 않는 곡물을 봤다면 이제는 더더욱 구분이 안가는 육류를 한번 살펴볼게요.
저는 곡물과 마찬가지로 육류도 거의 구분을 못하겠더라구요.
돼지고기 (삼겹살)
국내산 |
수입산 |
<원판> 모양이 불규칙하다 갈비뼈 부위에 칼자국이 있다 폭에 비하여 길이가 짧다 <슬라이스> 면이 고르지 않다 지방층이 두껍고 등심이 붙어 있다 고기색이 선명한 붉은 색이다 구우면 지방이 액체상태로 분리된다 |
<원판> 모양이 일정하다 갈비뼈 부위에 칼자국이 없다 폭에 비하여 길이가 길다 <슬라이스> 면이 고르다 지방층이 얇고 등심이 붙어 있지 않다 고기색이 검붉은 색이다 구우면 지방이 흰색으로 응고된다 |
쇠고기(등심)
국내산 |
수입산 |
신선한 고기에서 뼈를 발라내어 형태가 다양하다 갈비뼈를 발라낸 부분이 울퉁불퉁하고 칼자국이 많이 남아 있다 육색이 선홍색이다 지방층이 가늘고 고르게 분포되어 있다 떡심이 중간부위에 붙어 있다 떡심에 핏물이 스며들어 있지 않다 |
살짝 언 상태에서 뼈를 발라내어 겉에 뼈를 발라낸 흔적이 있고, 형태가 고르다 갈비뼈를 발라낸 부분이 고르다 육색이 검붉은 색이다 지방층이 두껍고 고르지 않다 떡심이 윗부분에 붙어있다 떡심에 핏물이 스며들어 있다 |
* 떡심 : 쇠고기 등심살에 들어 있는 노란색을 띤 힘줄덩어리
이제는 나물을 한번 살펴볼게요! 추석이나 설날 때 항상 수입산과의 전쟁을 치르게 되는 종류인데요! 이참에 확실히 구분해서 알아두자구요!
토란줄기
국내산 |
수입산 |
한 묶음의 무게가 가볍다 길이가 짧다 폭이 좁다 물에 담그면 부드럽게 보이며 녹색을 많이 띤다 손으로 찢어 말려 자른 면이 불규칙하다 |
한 묶음의 무게가 무겁다 길이가 길다 폭이 넓다 물에 담그면 퉁퉁하게 부풀고 회색을 많이 띤다 칼로 잘라 자른 면이 매끈하다 |
도라지
국내산 |
수입산 |
길이가 짧고 흰색을 띤다 동그랗게 말리는 성질이 약하다 깨물어 보면 부드러운 느낌이며 쓴맛이 거의 없다 껍질이 잘 벗겨지지 않아 일부 남아 있다 독특한 향기가 강하고 변질된 것이 거의 없다 |
길이가 길고 약간 노란색이다 동그랗게 말리는 성질이 강하다 깨물어 보면 질긴 느낌이며 쓴맛이 강하다 껍질이 잘 벗겨져 깨끗하다 소독약 냄새가 나며 변질된 것이 있다 |
우엉
국내산 |
수입산 |
<통우엉> 2차근의 발생이 많다 표면에 흙이 많이 묻어 있다 껍질이 얇아 잘 마른다 <찢은 우엉> 동그랗게 말리는 성질이 약하다 섬유질이 연하며 깨물어 보면 부드럽고 단맛이 약하다 만져보면 부드러운 느낌을 준다 |
<통우엉> 2차근이 거의 없어 매끈하다 표면에 흙이 경미하게 묻어 있다 껍질이 두꺼워 잘 마르지 않는다 <찢은 우엉> 동그랗게 말리는 성질이 강하다 섬유질이 단단하며 깨물어 보면 딱딱하고 단맛이 강하다 만져보면 거칠고 딱딱한 느낌을 준다 |
연근
국내산 |
수입산 |
짠 맛이 없다 시간이 지날수록 검은 반점이 발생하면서 갈색으로 변한다 요오드시약을 처리하면 용액이 자주색으로 변했다가 2분 경과후는 자주색이 없어진다 통뿌리 또는 절편상태로 유통된다 |
소금에 절여 짠 맛이 있다 시간이 지나도 색깔이 변하지 않는다 요오드시약을 처리하면 용액이 자주색으로 변하면서 덩어리 엉김 현상이 나타난다 절편상태로 유통된다 |
이 외에 다른 것들은 어떻게 구별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호두
국내산 |
수입산 |
<피호두> 윤기가 있다 속이 빈 호두가 적다 <깐호두> 모양이 거의 원모습을 유지하며 부서진 알이 적다 골이 촘촘하고 많다 연한 황갈색이다 맛이 고소하다 |
<피호두> 윤기가 없다 속이 빈 호두가 많다 <깐호두> 반쪽으로 쪼개져 있거나 부서진 알이 많다 골의 선이 굵고 성기다 중국산은 연한 황색이고 북한산과 베트남산은 진한 황갈색이다 고소한 맛이 적으며 묵은 냄새가 나는 것도 있다 |
곶감
국내산 |
수입산 |
과육이 탄력이 있다 꼭지 부위에 껍질이 아주 적게 붙어 있다 꼭지가 동그란 모양으로 깍여 있다 |
과육이 딱딱하거나 물렁물렁하다 꼭지 부위에 껍질이 많이 붙어 있다 꼭지가 깍이지 않고 원래 모양 그대로 붙어 있다 |
당근
국내산 |
수입산 |
표면에 흙이 많이 묻어 있다(세척당근 제외) 큰 것과 작은 것이 섞여 있다 머리부분은 굵고 뿌리 부분은 가늘다 수분이 많아 구부리면 잘 부러진다 줄기부분이 붙어 있고 절단면이 거칠다 |
물로 세척되어 겉이 깨끗하다 대체로 크기가 균일하다 기형당근이 거의 섞여 있지 않다 머리 부분과 뿌리 부분의 굵기가 비슷하다 말라서 구부리면 약간 휘어진다 줄기부분이 붙어 있지 않고 절단면이 매끄럽다 |
표고버섯
국내산 |
수입산 |
갓이 크고 두껍다(둥근 모양) 자루가 길고 굵다 갓 표면과 갓 주름이 밝은 갈색이다 품질이 양호하며 무게가 무겁다(주로 원목재배) 독특한 향기가 강하다 |
갓이 작고 얇다(삿갓 모양) 자루가 짧고 가늘거나 없다 갓 표면과 갓 주름이 짙은 갈색이다 품질이 불량하며 무게가 가볍다(주로 톱밥재배) 독특한 향기가 약하다 |
스무가지의 농수산물을 살펴보았습니다.
직접 그 현장에 가서 안내해 주시는 분들의 설명을 듣는다면 더 잘 이해가 되실거에요!
‘농수산물 원산지 비교전시회’가 앞으로는 아래와 같이 열릴테니 여러분들도 직접 한번 가보세요!
회차 |
개최 일정 |
개최 장소 |
4 |
7. 7 ~ 7. 10 |
농협 하나로마트 창동점 |
5 |
9. 8 ~ 9. 11 |
홈플러스 강서점 |
6 |
9. 22 ~ 9. 25 |
홈플러스 강동점 |
7 |
10. 6 ~ 10. 9 |
현대백화점 목동점 |
8 |
10. 13 ~ 10. 16 |
홈플러스 면목점 |
9 |
10. 20 ~ 10. 23 |
이마트 왕십리점 |
10 |
11. 3 ~ 11. 6 |
신세계 영등포점 |
그리고! 식약청에서는 최근 중국산 식품에 대한 소비자의 우려가 높아짐에 따라 주문자상표부착방식 위탁생산(OEM, Original Equipment Manufacturing)을 원산지와 함께 소비자들이 주로 보는 주표시면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표시기준을 개정하기도 했답니다!
먹거리 안전을 위해 이런 것을 개정해 나가도 많은 소비자들은 불안해하고 있습니다. 개정된 고시나 먹거리로부터 안전해 질 수 있는 방법을 소비자들에게 많이 홍보하고 알려나갈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국민의 건강을 책임지는 식약청에서 더욱 열심히 국민들이 먹거리의 불안으로부터 해소될 수 있도록 힘을 썼으면 좋겠다는 바람이 있답니다! ^^
< 원산지 비교 - 소비자시민모임&서울시가 만든 작은 책자 참고 >
솔직히.. '국산' 대 '수입산'을 한번에, 같이 비교해보면 그나마 다르다는 것을 알 거 같은데,
국산 따로, 수입산 따로 (둘을 한 곳에 놓고 비교하지 않는다면) 본다면.. 구별이 잘 안가더라구요.
엄마·아빠는 척! 보면 아시던데... ;;;;; 특성을 외워야하나... @.@
이상, 고민에 빠진 블로그지기 입니다.
담아가실 땐, 댓글 아시죠? 추천도 꾸욱~! ㅎㅎ
'기타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늬들이 지렁이에 대해 알아? 외모는 별로지만 활약은 대단해요~! (0) | 2013.04.25 |
---|---|
[스크랩] 다이어트, 잘 살펴보고 선택하세요! (0) | 2013.04.25 |
[스크랩] 식사는 즐겁고, 신나게! 식사지침에는 또 뭐가 있지? (0) | 2013.04.25 |
[스크랩] 올 여름 모기, 다 죽었어~!! 모기 퇴치 대작전! 모기쫓는 식물도 알려드림! (0) | 2013.04.25 |
[스크랩] 아~ 왜, 모기는 왜 나만!!! - 모기로부터 자유로운 그 날을 꿈꾸며~~(1) (0) | 2013.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