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가루나 황사가 많이 날리는 봄철에는
천식 환자가 많이 증가하는데요~
증상이 심해지면 숨도 쉬기 힘들어져 고통스러운 천식!
어떻게 잡아야 할까요?
# 조기 진단이 중요한 천식, 치료제 올바르게 사용해야!
꽃가루 또는 황사로 인해 천식 환자가 증가하는 봄철! 기침이 심해지고, 가슴 답답함이 느껴지시나요? 그렇다면 천식을 의심해 보세요~ 천식은 정확한 조기진단이 중요한데, 단순히 기침이 심해진다고 본인이 임의로 천식으로 판단하지 말고 의사 등의 전문가와 상담하여 증상과 연령에 적합한 치료제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는 천식치료제는 흡입제, 패취제, 정제 등이 있으며, 흡입제의 경우 흡입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약물이 폐까지 전달되어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사용을 원할 경우 의사 또는 약사와 상의하여 사용법을 정확히 숙지하고 사용해야 합니다.
어린이가 사용하는 경우에는 보호자의 감독하에 사용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특히 흡입이 어렵고 장치를 작동하는 것이 미숙한 6세 이하의 어린이는 안면마스크나 스페이서 등을 보조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스페이서는 흡입제를 정량투여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구로 스페이서를 통한 감염을 막고 다음 사용을 위해서는 사용 후 매번 세척과 건조가 필요합니다. 또한, 정기적으로 교환을 해줘야 합니다.
스테로이드를 함유한 흡입제는 사용 후 입안에 백색 또는 연한 노란색의 반점이 나타나는 칸디다감염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흡입 후 입안을 물로 씻어 주어야 합니다.
패취제는 흡입을 잘 못하는 소아나 심한 기침으로 토할 수 있는 경우에 사용이 적합하며, 용법에 따른 부착부위를 확인 후 상처가 없는 피부에 붙이고 부착부위를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어린이의 경우 떼어낼 수 있어 손이 닿지 않는 부위에 붙이는 것이 좋습니다.
# 천식을 잘 관리하려면?
천식을 잘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은?
천식을 잘 관리하기 위해서는 올바른 약물 사용뿐 아니라 집먼지 진드기나 곰팡이 등의 알레르기 원인물질을 잘 제거하고 실내에서 동물을 기르지 않는 등의 생활 속 환경 개선도 필요합니다. 집에 천식 환자가 있는 경우 베개와 침구는 자주 세탁하고, 환기를 통해 환경을 깨끗이 유지하세요~
또, 화학물질이나 자극적인 냄새는 천식 증상을 악화시키므로 스프레이, 페인트, 니스, 아세톤 등은 피하는 것이 좋으며, 대기오염이나 황사가 심한 날, 꽃가루가 많이 날리는 날에는 가급적 외출을 삼가야 합니다. 또한 외출 시에는 마스크를 착용하고 감기에 걸리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천식은 장기적인 질병입니다.
정기적인 검진으로 천식을 관리하시기 바랍니다.
이상 식약지킴이
식품의약품안전처 '식약지킴이' 블로그는 댓글 및 트랙백 등을 통한 많은 분들의 참여를 환영합니다. 건전한 소통을 위해 공지 내 '식약지킴이' 블로그 댓글 정책 안내를 참조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기타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임산부 증상에 맞는 음식 레시피(변비증) (0) | 2013.05.29 |
---|---|
[스크랩] 정승 식약처장, “2013 오송 뷰티세계박람회 성공 개최 기원” (0) | 2013.04.30 |
[스크랩] [식약처 이렇게 일하겠습니다] 위해식품 정보 뜨면 유통 자동 차단 (0) | 2013.04.30 |
[스크랩] [설명합니다] 채널A(종합뉴스, 4.1(월), 22:00) ‘천연물의약품 중 유해물질 검출’ 보도에 대해 설명합니다 (0) | 2013.04.30 |
[스크랩] 외식 중 열량, 나트륨이 가장 높은 메뉴는? (0) | 2013.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