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신장증의 분류 및 성장호르몬 치료 대상 저신장증
소아의 저신장증은 크게 질병에 의한 저신장증과 질병이 아닌 유전적 혹은 특발성 저신장증으로 나눌 수 있다. 저신장증을 초래하는 질병으로는 성장호르몬 분비장애, 터너증후군, 만성신부전, 프라더-윌리 증후군, 임신 주 수에 비해 작게 태어난 경우(부당경량아) 등을 들 수 있다. 특발성 저신장증은 특별한 이유 없이 해당 연령 및 성별의 평균 신장보다 2 표준편차점수 이하 또는 3 백분위수 미만인 경우로서 전신적,내분비학적, 영양학적 및 염색체 이상의 증거가 없는 경우이다. 즉, 몸에 별 다른 질병이 없고 성장호르몬이 정상적으로 분비되는 소아로서 100명 중 키가 가장 작은 3명 정도 만이 성장호르몬 치료의 대상이 된다.
성장호르몬 치료의 올바른 선택법
현재 우리나라에는 국·내외에서 개발된 10여종의 성장호르몬이 시판되고 있다. 성장호르몬 효능·효과의 범위는 품목별로 조금씩 다른데, 일부 품목은 특발성 저신장증에 대한 효능·효과가 없으며 그 중 몇몇 품목은 적응증 추가를 위한 임상시험을 진행 중이다. 성장호르몬은 모두 전문의약품으로서 진단과 치료 경험이 풍부한 의사의 투약 결정에 따라야 한다. 병원에서는 골격계 방사선 검사, 성장호르몬 자극 검사, 갑상선 기능 검사, 신장 기능 검사, 염색체 검사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저신장증의 원인을 파악하고 그에 따라 적절한 성장호르몬 치료 방법을 고려하게 된다. 투여 용법·용량은 저신장증의 원인에 따라서 환자 체중 또는 체표면적을 기준으로 개별적으로 설정된다.
성장호르몬 치료의 부작용 및 해소법
현재까지 사용 경험에 따르면 성장호르몬 치료는 비교적 안전하다고 알려져 있다. 소아에서의 성장호르몬 치료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으로는 발진, 전신가려움, 주사부위 발적과 같은 과민증, 간 효소 수치의 증가, 구역, 구토, 복통과 같은 소화기계 장애, 어깨 관절통을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근골격계 질환 및 백혈구 수 증가 등이 있으나 그 빈도는 대체로 낮은 편이다. 투여 중에 이상반응이 발생하면 의사의 진료에 따라 투여를 중지 혹은 감량하여야 한다.
성장호르몬의 투여는 보통 보호자 또는 아이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므로 투여 전에 의사 및 의료 전문가로부터 적절한 투여 방법에 대해서 교육을 받아야 한다. 성장호르몬은 피하에 투여하며 주사 부위를 상완, 대퇴, 복부 등 광범위하게 찾아 번갈아 가면서 투여하고, 동일 부위에 단기간 내에 반복하여 주사하지 않아야 지방조직위축증을 피할 수 있다.
- 본 기사는 '소비자를 위한 열린마루 2013 (5+6월호)'에 실린 글입니다. 웹진의 다양한 기사를 보고 싶으신 분들은 식약처 웹진 ‘열린마루'를 찾아주세요!
(웹진보러가기 : http://www.mfds.go.kr/webzine/201305/0506.html?page=24)
식품의약품안전처 '식약지킴이' 블로그는 댓글 및 트랙백 등을 통한 많은 분들의 참여를 환영합니다. 건전한 소통을 위해 공지 내 '식약지킴이' 블로그 댓글 정책 안내를 참조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기타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젠틀맨의 가인, 리쌍의 길도 도전한 1일 1식의 모든 것 (0) | 2013.06.27 |
---|---|
[스크랩] 백화점 푸드코트에서도 주문 전 열량 확인하세요! (0) | 2013.06.27 |
[스크랩] 모르핀 보다 강한 우리 몸 속의 마약, 엔돌핀을 운동으로 즐겨볼까요? (0) | 2013.06.27 |
[스크랩] [2013 오송 화장품 뷰티 세계박람회] 관람객 100만 명, K-뷰티를 세계에 알리다 (0) | 2013.06.27 |
[스크랩] [식약처 분석실 24시] 반인륜적 인육캡슐, 질병을 부르는 위험캡슐 (0) | 2013.06.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