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사를 사로잡는 비키니 몸매,
GI, GL지수만 알면 가능하다!
여자라면 평생에 꼭 한번은 시도해봤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다이어트. 드라마 ‘신사의 품격’에서 서이수가 끝내주는 몸매로 비키니를 입기 위해 봄부터 그렇게 소쩍소쩍 울었다고 고백했다. 당신은 어떠한가? 배고픔을 못 이겨 다이어트에게 무릎 꿇고 말았던 작심하루 다이어트는 이제 그만. 음식의 칼로리에 혈당지수(GI)와 당부하지수(GL)를 접목시킨 다이어트가 당신을 다이어트 고수의 길로 인도할 것이다.
<출처-SBS ‘신사의 품격’ 방송>
# 21세기에 아직도 혈당지수를 모른다고?
이 현대화 사회에 아직도 혈당지수를 모르는 사람이 많은 것 같다. 단순히 우리 모두가 알고 있는 칼로리 조절로는 더 이상 다이어트에 성공할 수 없다. 바로, 혈당지수를 알아야 하는 것인데? 근데 혈당지수는 뭐지?
혈당지수~! 영어로는 GI라고 하지요~♬ 혈당지수(Glycemic Index)란 일정한 양의 시료식품 탄수화물을 섭취한 후의 혈당 상승 정도를 같은 양의 표준 탄수화물 식품을 섭취 후의 혈당 상승 정도와 비교한 값이다. 혈당지수는 공복 상태에서 포도당 50g을 섭취한 뒤 2시간 동안의 혈당 변화를 100으로 보고 다른 탄수화물 식품 50g을 섭취했을 때의 혈당 변화를 지수로 만든 것으로 즉, 혈당지수는 탄수화물 함유량이 아니라 시간에 따른 혈당 증가치를 말해 준다. 혈당지수 70 이상일 때 혈당지수가 높다고 하며, 56~69를 중간 정도, 55 이하를 당지수가 낮다고 분류한다. 그 예로 다이어트를 할 때 다들 쌀밥 대신 현미밥을 먹을 것을 추천하는데 그 이유가 바로 혈당지수 때문이다.
|
| |
칼로리(100g) | 348 | 354 |
혈당지수 | 92 | 66 |
위의 도표에서 보여주듯이 쌀밥과 현미밥 한 공기의 칼로리는 대략 350Kcal로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다. 그러나! 혈당지수에서는 현저한 차이를 보인다. 바로 이 때문에 다이어트를 하는 사람들에게 모두 현미밥을 추천하는 것이다. 더 재미있는 사실은 구운 감자와 구운 고구마를 비교하면 당연히 칼로리는 달콤한 고구마가 높지만 혈당지수는 구운 감자가 월등히 높다는 것이다.
<감자와 고구미의 혈당지수 차이>
그렇다면 혈당지수가 다이어트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 수 가 있는가? 인제대의대 서울백병원 가정의학과 강재헌 교수는 “인체는 혈당 흡수를 조절하기 위해 인슐린을 분비하는데 혈당지수가 높은 음식은 많은 인슐린 분비를 유도하고, 지나치게 분비된 인슐린은 몸이 이용하고 남은 혈당을 지방 형태로 근육과 장기에 쌓게 하며, 혈당지수가 높은 음식은 탄수화물 분해 속도가 빨라 공복감을 빨리 느끼게 한다”고 말했다. 우리가 식사를 하고 나면 급격히 올라간 혈당을 조절하기 위해 인슐린이 분비되는데 섭취한 음식의 혈당지수가 높다면 그만큼 인슐린의 분비가 촉진되어 지방 저장 또한 촉진되기 쉽다는 것이다.
# 혈당지수를 알았다면? 당부하지수(GL)도 고려해보자~
< 출처 : 당뇨병 식품교환표 활용지침 2010 >
당부하지수(GL)는 혈당지수(GI)에 식품의 1회 섭취량을 반영한 것이다. 당부하지수는 식사에서 섭취한 당질의 실제적인 양을 고려해 그 식품을 실제로 섭취했을 때 혈당을 어느 정도 올리는지를 나타내는데, 보통은 당부하지수가 20이상이면 높고 10미만이면 낮다고 평가한다. 예를 들어 당근의 혈당지수는 71로 매우 높지만 실제로 이 혈당지수를 나타내려면 한꺼번에 당근 7개를 먹어야 한다. 당근에 들어있는 당질의 함량이 작기 때문이다. 다른 예로 수박 또한 혈당지수는 72로 높지만 거의 수분이므로 당질의 함량은 조각낸 수박 1컵을 기준으로 10g에 불과하므로 당부하지수는 낮다.
이 당부하지수가 낮을수록 혈당에 미치는 영향이 적겠죠? 따라서 칼로리와 내가 섭취한 식품의 양의 혈당지수(GI)와 섭취량을 계산한 당부하지수(GL)를 고려한다면, 올바른 식이요법을 실천할 수 있을 겁니다.
이 글을 끝까지 읽은 당신은 이제 준비가 되었는가?
올 여름 칼로리 + GI 다이어트로 만든 완벽한 비키니 몸매로 뭇 남성들의 시선을 뺏을 준비가!
식품의약품안전청 '식약지킴이' 블로그는 댓글 및 트랙백 등을 통한 많은 분들의 참여를 환영합니다. 건전한 소통을 위해 공지 내 '식약지킴이' 블로그 댓글 정책 안내를 참조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기타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티벳버섯’은 버섯이 아니야~~ (0) | 2012.11.12 |
---|---|
[스크랩] 고소한 감자튀김에도 발암물질이? 식품 내 발암물질 피할 수 있어요! (0) | 2012.11.12 |
[스크랩] 오가닉(Organic)의 형님이 떳다! 이제는 로가닉(Rawganic) 시대! (0) | 2012.11.12 |
[스크랩] 모든지 다다익선? 먹는 것 만큼은 도움 안돼! (0) | 2012.11.12 |
[스크랩] 더 이상 힘쓰지 말자! 변비, 비켜! (0) | 2012.1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