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 천연물의 신약 개발]
치명적인 독을 가진 청자고둥의 활용
천연물 신약은 천연물에서 주요 성분을 연구하고 분석하여, 신약화 시키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 집니다. 현재 홍삼, 인삼 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 중에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우리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해양천연물 신약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합니다.
바다는 넓고 싶은 만큼 연구하는게 쉽지 않지만, 아직도 무한한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분야입니다. 현재 다양한 생물과 해양식물에 대하여 연구 중인데 그중에 청자고둥을 이용한 신약개발에 대하여 간단히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
# 새로운 진통제의 발견, 청자고둥
청자고둥은 cone snail으로 불리고 있으며 호주에서 많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백과사전을 찾아보면 청자고둥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나옵니다. 청자고동과에 속한 맹독성 고둥으로, 주로 모래바닥에서 살고 있습니다. 갯지렁이 모양의 혀로 작은 물고기를 유인해서 독을 쏘아 서서히 포식대상의 몸을 마비시켜 잡아 먹는 것으로 유명합니다. 최근 의학계에서는 청자고둥의 독이 신경전달계를 마비시키는 20여가지 물질의 조합으로 구성된 것을 발견하고 일부 물질을 추출해서 사용하면 환자들의 고통을 가라앉히는 진통제로 뛰어난 효과를 발휘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고 합니다. 청자고둥의 독은 특히 진통제로 흔히 쓰이는 모르핀에 비해 습관성이 되거나 호흡곤란 같은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상업성도 뛰어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 청자고둥이 사용하는 독의 성분은 크게 2가지가 있다고 합니다. 이는 conatoxin, conantokin입니다. 이둘의 차이점에 대하여 간단히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성 분 |
특 징 | |
conatoxin |
근육마비, 신경마비 |
sluggish peptide |
conantokin |
근육마비 없고, 신경둔감 |
sleeper peptide |
conatoxin 은 sluggish peptide으로 불리는데 그 이유는 근육마비와 신경마비를 동시에 일으키기 때문입니다. 이에 비해 conantokin이라는 독성은 sleeper peptide 으로불리는데 conatoxn과 달리 근육마비가 없는 점이 특징입니다.
마취를 하게 되었을 때, 마비된 근육으로 인해 수술이 번거로운 경우가 생깁니다. 하지만 이럴 경우 conantokin을 사용한다면 신경마취만 시킨 채 수술을 할 수 있어, 근육마비 없이 수술이 가능한 장점이 있습니다.
그 외에도 미국 유타대 연구팀은 청자고둥 독소를 좌골신경통과 유사한 일종의 신경통을 가진 쥐들에 시험한 결과 좋은 통증 완화 결과가 나타났다고 밝혔습니다. 이 연구팀의 마이클 매킨토시 박사는 이번 연구 결과가 복용할 수도 있는 새 진통제 개발에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연구 결과가 사람을 위한 치료제로 만들어지려면 10년 또는 그 이상이 걸릴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최근 우리나라 20번째 신약 “듀비에 정” 이 식약처의 제조.판매 허가를 받았습니다. 현재 우리나라도 신약개발에 큰 힘을 쏟고 있고 연구 중입니다. 이런 흐름에 탄력을 받아 해양천연물 신약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되어 질병타파에 한발자국 더 다가섰으면 하는 바램으로 이번 기사를 마치겠습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식약지킴이' 블로그는 댓글 및 트랙백 등을 통한 많은 분들의 참여를 환영합니다. 건전한 소통을 위해 공지 내 '식약지킴이' 블로그 댓글 정책 안내를 참조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한편, 블로그 기자단 등 외부 필진에 의한 기사는 식품의약품안전처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기타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조리까지 안심하지 마세요! (0) | 2013.08.31 |
---|---|
[스크랩] 완전 소중한 철분 " Fe " (0) | 2013.08.31 |
[스크랩] 인체 삽입 의료기기 이력관리 시작합니다 (0) | 2013.08.31 |
[스크랩] [식약처 분석실 24시] 가짜식품의 진실을 밝혀라! (0) | 2013.08.31 |
[스크랩] 세계 곳곳 다양한 글로벌 보양식 (0) | 2013.08.31 |